본문 바로가기

생활 | 건강

NANDA 간호진단: 체액부족위험성(Risk for Deficient Fluid Volume) | 정의, 간호진단, 간호목표, 객관적 자료

반응형

체액부족위험성

 

 

 

 

NANDA 간호진단: 체액부족위험성(Risk for Deficient Fluid Volume)

"체액부족위험성은 균형이 깨진 체액량으로 인해 몸에 충분한 수분이 없을 위험이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적절한 수분 공급 부족, 감염으로 인한 수분 손실, 수분 공급 장애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습니다."

 

 

 

 

간호진단 예시
  • 고열과 같은 발열성 질환에 의한 체액부족위험성
  • 통증으로 인한 식욕 부진과 체액 섭취 부족에 의한 체액부족위험성
  • 구토 및 설사 등 위장관장애에 의한 체액부족위험성
  • 부정맥, 심부전 등 심장 기능 저하로 인한 체액부족위험성
  • 수술 후 안정화 과정에서의 체액부족위험성
  • 당뇨병과 같은 기전성 질환에 의한 체액부족위험성
  • 신부전이나 신장 질환으로 인한 체액부족위험성
  • 수분 섭취를 제한하는 외과와 같은 치료 과정 중 체액부족위험성
  • 노인 환자: 축적된 고혈압 및 위해 요소로 인한 체액부족위험성
  • 적절한 수분 공급이 어려운 무작위성과 같은 생활 상황에 의한 체액부족위험성
  • 암치료, 항암제작용으로 인한 체액부족위험성

 

 

 

반응형
간호목표 예시

장기목표:

  1. 환자가 적절한 체액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며 건강한 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2. 환자가 체액부족위험성과 관련된 증상 및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3. 환자와 보호자가 체액 및 전해질 유지와 관련하여 꾸준한 자기관리와 자기감시를 실천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4. 환자에게 지속적인 의료 및 간호 관리 지도를 통해 체액 및 전해질 관리의 중요성을 이해시킨다.
  5. 환자가 전문가와의 긴밀한 소통과 급성 및 만성 질환과 관련된 체액 부족 상태를 예방하는 전략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

 

단기목표:

  1. 환자가 체액섭취량을 꾸준히 기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2. 환자의 전해질, 내분비 및 신장 기능 검사 결과가 정상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3. 환자가 구토나 설사와 같은 체액 손실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도록 한다.
  4. 환자에게 수분 섭취와 물질 제거 균형의 중요성을 이해시킨다.
  5. 수술 후 연속적인 체액 및 전해질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6. 환자에게 적절한 수분 섭취 방법을 교육하도록 한다.
  7. 통증과 고열감 등 체액손실에 기여하는 증상 개선을 목표로 한다.
  8. 부정맥이나 심박수부전 감소를 목표로 컨트롤된 평가 및 관리를 진행한다.
  9. 환자가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을 파악해 즉시 알리도록 한다.
  10. 환자에게 적절한 체액섭취-제거를 위한 실생활에서의 Diet 및 운동 시간 조절 교육을 제공한다.

 

 

 

객관적 자료 예시

1. 혈압, 맥박수, 산소 포화도

: 낮은 혈압, 높은 맥박수, 낮은 산소 포화도 등이 관찰되면 체액부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섭취량과 배출량 기록

: 입량과 대변, 소변량을 비교하여 체액 균형이 맞지 않으면, 이는 체액부족위험성의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3. 피부와 점막의 물리적 상태

: 피부와 점막이 탄력이 없거나 건조하면, 이는 체액부족의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4. 피부 혈류 평가

 : Capillary Refill Time, CRT이 길어지면, 이는 체액부족의 징후가 될 수 있습니다.

 

5. 부종의 유무

 : 부종이 있으면 가능한 체액부족 위험성을 판별합니다. 반면, 부종이 없는 경우에도 체액부족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다른 원인과 증상에 대한 평가를 계속해야 합니다.

 

6. 호흡과 심장 관련 소견

 : 호흡 곤란, 빠르거나 얕은 호흡, 가슴 통증 등과 같은 호흡 및 심장 소견들이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7. 환자의 건강 상태 및 질병 이력

 : 최근 수술, 신장 문제, 심장 질환, 출혈 및 빈혈 등과 같은 문제는 체액부족위험성의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구독과 공감은 핀제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